Breaking news, vital journalism, quizzes, videos, celeb news, Tasty food videos, recipes, DIY hacks, and all the trending buzz…

산부인과 전문의 3명중 1명 60대 이상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갈수록 고령화가 심했다. 여성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0.24명으로 0명대에 그쳤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8월 말 현재 전체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6082명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54.4세였다. 이 가운데 2009명(33%)은 일반인의 법정 정년인 6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의 평균 연령이 60.8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북(59.6세), 전남(59.1세), 충북(58.3세), 강원(58.1세) 순이었다. 전국 평균(54.4세)보다 낮은 지역은 세종(51.5세), 서울(51.8세), 경기(53세), 대구(54세) 등 4개 지역에 그쳤다.

[Read More]

설악산 단풍 ‘절정’… “산악 사고 주의하세요”

설악산 단풍이 20일을 기해 절정을 맞았다. 전국 산지도 가을 단풍으로 물들고 있다. 나들이객이 증가하면서 산악 사고 위험성도 커지고 있다.

20일 기상청 등에 따르면 지난 4일 시작된 설악산의 단풍은 이날 절정에 들었다. 강원도 오대산은 지난 15일 단풍 절정을 맞았다. 치악산과 지리산은 오는 23일에 절정일 것으로 보인다. 무등산과 내장산은 각각 다음 달 4일과 5일 절정에 들 것으로 예고됐다. 이번 주말부터 다음 달 초까지 전국 대부분 산들이 단풍 절정을 맞는 셈이다.

단풍의 시작은 산 정상에서부터 20%가량 물들었을 때를 뜻한다. 단풍의 절정은 산의 80%가량이 단풍으로 뒤덮였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통상 단풍 절정은 단풍 시작 약 20일 이후에 볼 수 있다.

[Read More]

인천 공장 화재로 건물 30여개 동 피해

인천의 한 산업용 기계 제조 공장에서 난 화재가 강한 바람을 타고 번지면서 일대 공장 건물 30여개 동이 불에 타는 큰 피해로 이어졌다.

20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44분쯤 인천시 서구 왕길동의 한 산업용 기계 제조 공장에서 불이 났다. 이 불은 강한 바람을 타고 주변으로 번지면서 일대 공장 건물 30여개 동이 탔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진화 과정에서 불이 인근 야산으로 잠시 옮겨 붙기도 했지만 소방당국이 선제적으로 진화에 나서 큰 산불로 번지지는 않았다.

[Read More]

박스피에 거래대금 뚝… “SK하이닉스·삼성 실적 중요 변곡점”

한국 증시가 한 달 이상 박스권에서 횡보하면서 투자 열기를 가늠하는 지표인 투자자예탁금과 일 평균 거래대금이 바닥 수준으로 감소했다. 실적 시즌을 앞두고 기업들의 3분기 실적 전망치가 한 달 새 7% 넘게 하향 조정되는 등 투자 심리가 위축된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주 연달아 발표될 빅테크 기업 등의 실적이 한국 증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2조3678억원으로 지난달 말(56조8329억원)보다 4조원 넘게 줄었다. 연초 59조원을 넘어섰던 것과 비교해도 7조원 넘게 줄어든 규모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증권사 계좌에 넣어 둔 잔금이다. 주식을 사기 위해 계좌에 넣어두거나 주식을 팔고 난 뒤 되찾지 않은 돈이어서 증시 대기 자금으로 불린다.

[Read More]

“병원 함께 가주는 서울시 ‘동행 서비스’ 반응 좋네”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가 시행 3년 만에 누적 이용 건수 4만5000건을 넘어섰다.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만족도가 93%에 달하고 이용 시간이 15만 시간에 육박하는 등 수요자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오세훈 시장의 공약이었던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의 누적 이용 건수가 사업이 시작된 2021년 11월 이후 약 3년간 4만5001건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오 시장은 사업 시행 당시 3년간 3만5000건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30% 가까이 초과 달성한 것이다.

서울시 병원 안심동행 서비스는 병원에 출발할 때부터 집으로 돌아올 때까지 동행 매니저가 보호자처럼 곁에서 함께하는 지원 사업이다. 1인 가구, 노인가구, 조손가정 등 병원 방문이 어려운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다. 이용자들은 진료, 투석, 재활, 항암 치료 등 의료 서비스 전 과정에서 동행 매니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Read More]

젠지, 풀세트 접전 끝에 4강 진출…27일 T1과 맞대결

젠지가 플라이퀘스트(FLY)를 상대로 5세트 접전 끝에 롤드컵 4강에 진출했다.

젠지는 20일 프랑스 파리 아디다스 아레나에서 열린 롤드컵 8강전에서 북미 리그 (LCS) 1위인 플라이퀘스트와의 경기에서 3대 2로 승리했다.

1세트에서 젠지는 통상적으로 승률이 높은 블루진영을 선택했다. 챔피언은 럼블-스카너-아리-징크스-레오나를 뽑았다. 11분께 유충 교전에서 플라이퀘스트는 궁극기 연계를 활용해 ‘쵸비’ 정지훈, ‘리헨즈’ 손시우, ‘기인’ 김기인을 잡아냈다. 이후 플라이퀘스트는 미드 세라핀을 앞세워 3용과 4유충 등 오브젝트를 챙겼다. 31분께 플라이퀘스트가 용 전투에서 젠지 챔피언 4명을 잡아내며 곧바로 젠지의 넥서스를 파괴하며 젠지가 1세트에서 패배했다.

[Read More]

울산 시내버스 어린이 이용자 22.5% 늘었다

울산시의 ‘시내버스 어린이 요금 무료화 사업’이 효과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시는 ‘어린이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 사업’ 시행 첫 달인 9월 하루 평균 7~12세 이용자가 3600명으로 지난해 9월 대비 22.5%(700명)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9월 4주차에는 하루 4000명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어린이 시내버스 요금 무료화 사업’는 민선 8기 후반기 역점 시책인 ‘울부심(울산 자부심) 생활 플러스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다. 울산지역 내 일반 시내버스와 KTX울산역 연계 리무진버스를 포함해 직행좌석형 버스, 지선·마을버스 등 183개 전 노선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7~12세 어린이는 교통카드를 구입한 후 본인의 생년월일을 등록해서 사용하면 된다. 보호자와 함께 탑승할 때는 보호자 카드로 다인 결제도 가능하다. 교통카드가 준비되지 않았을 때는 현금(일반 시내버스 기준 600원)을 지불해야 한다.

[Read More]

서울은 로또급·지방은 미분양 적체… “청약통장 버립니다”

서울의 30대 직장인 이모씨는 곧 아파트 매입하고, 청약통장을 해지할 계획이다. 이씨는 “서울 청약 당첨은 ‘로또’니 내 인생엔 없을 거란 생각했고,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가 높아지고 2~3년 내 공급 대란 우려도 있어서 빨리 매매로 눈을 돌렸다”고 말했다.

서민들의 ‘내 집 마련’ 통로였던 청약통장을 해지하는 가입자들이 늘고 있다. 정부는 가입자 감소를 막기 위해 금리 인상 등 청약통장 혜택을 늘리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서울 등 수도권 주요 지역은 당첨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지방에선 미분양이 적체되는 등 청약통장의 필요성이 낮아지고 있는 탓이다. 또 원자재 및 인건비 상승에 따라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일반 매매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Read More]

퐁피두 센터 부산 분관 ‘가속화’… 지방재정 투자심사 면제

부산시가 추진 중인 프랑스 ‘퐁피두 센터’의 부산 분관 설립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는 해당 사업이 정부로부터 지방재정 투자심사 협의 면제 대상으로 확정된 데 따른 것이다.

부산시는 ‘세계적미술관 분관(퐁피두 센터 부산) 유치 및 건립사업’이 지난해 11월 기획재정부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지방재정 투자심사 협의면제 대상으로 의결된 데 이어 행정안전부 산하 지방행정연구원의 검토를 거쳐 지난 17일 최종 면제 결정이 내려졌다고 20일 밝혔다. 이로써 시는 약 1년 6개월의 행정 절차를 단축할 수 있게 됐다.

시는 지난 7월 시의회의 동의를 받아 9월 퐁피두 센터와 부산 분관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분관은 이기대 공원 내 1만5000㎡ 규모로 전시실, 창작공간, 수장고, 커뮤니티 홀, 교육실, 야외공원 등을 포함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시는 2027년 하반기 착공해 2030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1년 상반기에 개관할 예정이다.

[Read More]

[단독] 그래도 국가대표 트레이너인데… 장애인팀 소속, 최저임금도 못받아

트레이너 박모(32)씨는 2024 파리패럴림픽을 앞둔 지난 7월 장애인 배드민턴 국가대표팀에서 근무하기 시작했다. “트레이너로서 얻을 수 있는 최고의 명예”라는 동경을 품고 뛰어든 일이었다. 정규 훈련 시간을 3~4시간씩 넘겨 퇴근하는 경우도 잦았지만 별 문제로 여기지 않았다.

파리패럴림픽 선수단은 금메달 6개를 따내며 선전했다. 그러나 박씨는 3개월 만에 이직을 고려하는 처지다. 일급 10만원으로 감당하기엔 생계의 벽이 높았기 때문이다. 대표팀 캠프가 소집되지 않은 날엔 이마저도 받지 못했다. 노인용 복지용구 배달 아르바이트를 병행했지만 역부족이었다. 박씨는 “안정적으로 돈을 벌어야 저축도 하고 아이도 낳지 않겠느냐”며 “공장에 들어가 기술을 배우면 월 300만원은 벌 텐데 아직 꿈을 못 놓고 고민 중”이라고 털어놨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