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소아청소년과 병·의원이 문을 닫는 늦은 밤, 휴일에 아이가 ‘응급실에 갈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갑자기 아플 때 대부분은 대학병원 응급실을 떠올린다. 하지만 소아 응급실에 경증환자가 밀려들면 정작 위급한 아이가 진료받지 못할 게 뻔하다. 정부가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운영해온 제도가 ‘달빛어린이병원’이다. 야간 진료의 공백을 메꾼다는 취지로 ‘달이 뜨면 더 빛나는 병원’이란 뜻을 이름에 담았지만, 정작 달빛어린이병원장들은 “달이 뜨는 밤이 두렵다"고들 호소한다. 무슨 연유일까.
올해 1월1일 달빛어린이병원으로 새롭게 지정받은 김포아이제일병원(경기 김포시)의 이홍준 대표원장은 21일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달빛어린이병원 지정을 반납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달 뜨는 밤이 이제는 두려울 지경"이라고 토로했다. 운영한 지 10개월도 채 지나지 않았지만 선택의 기로에 놓인 건 △의료진의 피로도가 극에 달했다는 점 △진료할수록 적자만 심해진다는 점 △추가 인력을 구하기 쉽지 않다는 점 등 때문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