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1일 우리 정부가 평양에 무인기를 침투시켜 대북 전단을 살포했다고 주장하며 “(남측의) 중대적 정치군사적 도발에 모든 공격력 사용을 준비 상태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저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중대 성명’을 발표했다.
이어 “신성한 국가 주권과 안전에 대한 노골적인 침해이자 국제법에 대한 난폭한 위반”이라며 “대한민국의 이번 도발 행위를 더 이상 설명할 여지도 필요도 없이 응당 자위권에 따라 보복을 가해야 할 중대한 정치군사적 도발”이라고 말했다.
또 “모든 공격력 사용을 준비 상태에 두고 우리는 대한민국에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최후통첩으로서 엄중히 경고하고자 한다”며 “대한민국이 또다시 무인기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공에 침범시키는 도발 행위를 감행할 때는 두 번 다시 이와 같은 경고는 없을 것이며 즉시 행동으로 넘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통일전선부(통전부) 대신 외무성 명의로 성명을 낸 건 ‘적대적 두 국가’라는 점을 강조하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합동참모본부(합참) 관계자는 이날 “군 차원에서 북한에 무인기를 보낸 바 없다”며 “민간에서 보냈는지는 현재 확인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용현 국방부 장관은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언론 속보에 대한 질문을 받고는 “그런 적 없다”고 말했다가, 이후 “우리의 기본적 입장은 북한 주장에 대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줄 수 없다는 것”이라고 정정했다.
김 장관은 “북한 내부에서 했을 수도 있다”며 북한의 자작 가능성도 열어뒀다.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북한의 대응에 혼선을 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부 전문가들도 북한의 주장이 자작극일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은 “북한의 자작극이거나 긴장 고조를 위한 의도, 대북 전단 저지를 위한 명분용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부터 일부 민간 단체들이 무인기를 사용해 전단을 살포하겠다는 계획을 공공연하게 이야기했다”며 “만약 자작극이 아니라 실제로 무인기가 수도 평양 상공을 날았다면 최근 국방상이 강순남에서 노광철로 교체된 것도 이에 대한 문책성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