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 로켓 재활용 새 이정표…슈퍼헤비 로켓 `젓가락 팔`로 잡아 `회수` 성공

스페이스X의 차세대 우주선 ‘스타십’이 13일(현지시간) 다섯 번째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특히 발사탑에 새로 설치한 ‘젓가락 팔’을 이용해 1단계 추진체인 ‘슈퍼헤비’를 잡는 첫 시도에 성공해 대형 로켓 회수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다.

스페이스X는 이날 오전 7시 25분(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인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을 발사했다.

발사 장면은 온라인을 통해 생중계됐다. 발사 이후 약 3분 만에 전체 2단 발사체의 1단 부분인 ‘슈퍼헤비’ 로켓이 상단 우주선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이어 발사 7분 만에 1단 로켓 추진체인 슈퍼헤비가 우주에서 지구로 돌아와 발사탑에 설치된 젓가락 팔이 공중에서 잡아서 수직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발사 이후 지구 저궤도까지 치솟았던 슈퍼헤비는 스타십과 분리된 이후 지상의 발사탑에 근접하면서 역추진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줄였고, 젓가락 모양으로 평행한 구조의 대형 로봇팔 2개가 슈퍼헤비를 붙잡아 발사대에 무사히 착륙시켰다. 로봇팔을 이용하면 발사대에 재착륙했을 때보다 재발사 기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젓가락 로봇팔은 영화 속 고질라에서 이름을 따 ‘메카질라’로 명명됐다.

스타십 우주선은 시속 2만6225㎞로 고도 210㎞에 도달해 예정된 지구 궤도 항로를 비행한 뒤 발사 40여 분간 지난 시점부터 고도를 낮추며 대기권에 재진입해 바다에 착수해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앞서 스페이스X는 지난해 4월, 11월, 올 3월, 6월 등 네 차례에 걸쳐 스타십의 지구궤도 시험 비행을 시도했으나,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날 5차 시험 비행은 현재까지 가장 성공한 스타십 비행으로 기록되게 됐다.

일론 머스크는 비행이 끝난 뒤 엑스(X·옛 트위터)에 “스타십이 목표지점에 정확히 착륙했다"며 “두 가지 목표 중 두 번째 목표가 달성됐다"고 말햇다. 이어 “(인류가) 여러 행성에서 살 수 있게 하기 위한 큰 발걸음이 오늘 이뤄졌다"고 자평했다.

스포츠토토 사이트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