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노벨문학상 수상 쾌거…이젠 과학 분야로 이어지길

노벨 과학상은 일본 25명, 중국 3명에 한국은 전무

기초과학 연구의 투자·규제 혁파, 전방위 지원 필요

2000년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에 이어 한국인으로서 두 번째 노벨상 수상자가 등장했지만 우리는 아직도 목이 마르다. 특히 과학 분야의 수상자가 아직 한 명도 나오지 못한 것은 못내 아쉬운 대목이다. 과학 분야에서 일본은 1949년 첫 수상자(노벨물리학상)가 나온 뒤 25명이나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중국도 3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올해 노벨 과학상 분야를 휩쓴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한국은 뒤처져 있다.

노벨 과학상은 기초과학 분야에 준다. 무엇보다 해당 연구가 인류의 삶과 과학 발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기여했는가가 중요하다. 노벨 과학상이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겨지는 이유다. 한국의 과학 인프라나 투자는 세계적인 수준이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2024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과학 인프라 분야 1위를 차지했다. 네이처지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은 5.2%(2022년 기준)로 이스라엘(5.6%)에 이은 세계 2위지만 연구 성과는 8위에 불과하다. 즉 연구의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얘기다.

노벨 과학상에 한국이 명함을 내밀지 못한 건 척박한 연구 환경과 풍토에 기인한 바 크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핵심 연구를 시작해 노벨상 수상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31.4년이다. 이를 뒷받침하기에 우리 현실은 너무나 동떨어져 있다. 기초과학보다는 상용화에 필요한 응용 연구에 집중하는 데다, 이른바 ‘돈이 되지 않는’ 장기 연구를 홀대해 와 단기 성과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수준 높은 연구를 오랫동안 진행하며 깊이를 쌓아야 하는 ‘축적의 시간’이 부족했다. 이공계 기피와 의대 선호로 인한 우수 인력의 이탈, 과학기술 예산 부족 등도 문제로 지적된다.

가장 시급한 과제는 기초과학 분야에서 창의적 연구를 이어갈 분위기와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다. 정부는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세제 등의 전방위 지원과 규제 혁파에 나서야 한다. 이를 통해 기업과 대학·연구소 등이 연구에만 매진하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연구자 처우 개선을 위한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 이런 모든 노력이 하나로 모일 때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이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노벨 과학상 역시 이룰 수 있는 꿈이다.

먹튀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