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대표도 “(여사) 라인은 존재하면 안 된다”
대통령 지지율 높이려면 비상한 결단 내려야
그는 지난 12일엔 “김 여사에 대한 국민의 우려와 걱정을 불식하기 위해 대통령실의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김 여사가) 공개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9일), “(도이치모터스 사건에서) 검찰이 국민이 납득할 만한 결과를 내놔야 한다”(10일)는 말도 했다.
한 대표의 발언은 결국 여권 내부에서 올 게 왔다는 느낌을 준다. 그동안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사 라인’이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소문이 파다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오래전부터 ‘여사 라인’으로 통하는 비서관·행정관들의 실명 리스트가 나돌았다. 한 대표가 아니었어도 ‘여사 라인’은 언젠가는 터질 시한폭탄이었다. 과거 정권에서도 영부인의 숨은 영향력은 있었지만, 지금처럼 대통령실 내부에 비선 그룹까지 형성한 적은 없었다. 이런 일이 생긴 건 김 여사가 국정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을 용산 내부에서 묵인·방치했기 때문일 수밖엔 없다.
지난해 3월 국가안보실장·외교비서관·의전비서관이 석연찮게 경질됐을 때 김 여사의 입김이 작용했단 말이 파다했다. 실제로 후임 의전비서관은 김 여사의 측근이 기용됐다. 지난 4월 총선 직후 ‘박영선 총리-양정철 비서실장’ 보도가 불쑥 불거진 것도 출처가 ‘여사 라인’이란 게 정설이었다. 심지어 당시 이관섭 비서실장이 즉각 부인하자 ‘여사 라인’의 비서관이 비공식적으로 언론에 재반박하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졌다. 이러니 대통령실의 기강이 세워지겠나.
여당 총선 참패의 빌미를 제공한 명품백 사건도 ‘여사 라인’ 때문에 윤석열 대통령이 민심에 부응하는 조처를 결단하지 못했다는 게 한 대표 측 시각이다. 물론 한 대표가 ‘여사 라인’을 때리는 게 100% 순수한 동기인지는 알 수 없다. 정치적 계산도 깔려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한 대표가 문제의 정곡을 찌른 것만은 부인하기 힘들다.
지금 김 여사 문제는 국정의 최대 리스크가 돼버렸다. 어제 리얼미터 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은 25.8%로 2주 전 최저치와 동률이었다. 임기가 절반이나 남았는데 이런 지지율로 국정 운영은 어렵다. 김 여사 문제를 정리하지 못하면 정권의 미래가 어두워진다는 비상한 각오로 결단을 내려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