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압박에 과거로 회귀한 카카오 ʹ다음ʹ 뉴스 서비스

카카오는 지난 4일 포털 다음 뉴스의 언론사 입점 프로세스를 재편하겠다고 했다. 작년 5월 중단된 제평위 대신 자체 심사 기준을 도입해 포털을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언론 매체의 공신력 있는 단체 소속 여부와 자체 기사 생산 비율 기준선 충족 여부 등 오로지 정량 평가를 통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양대 포털인 네이버와 다음은 제평위를 통해 제휴 언론사 입점을 심사하고 관리했으나 공정성 논란으로 제평위는 활동이 중단된 상태다.

카카오는 포털 뉴스의 다양성을 위해 ▲지역 ▲테크 ▲생활경제 등 전문 분야별 입점 신청을 받고 공신력을 갖춘 언론·기자 단체에 속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언론사의 자체 기사와 전문 분야 기사 생산 비율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지 들여다본다. 자체 기사 생산 비율은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신문법) 시행령 가운데 인터넷신문 발행 요건을 차용했다.

카카오는 입점 절차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해당 프로세스의 평가 방식 ▲절차 ▲결과 ▲활용 기술 등을 투명하게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 신청과 재심 절차도 진행한다.

언론 유관 단체 등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프로세스를 보완한 뒤 확정 프로세스 오는 다음달 내 공지하고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콘텐츠제휴 장벽을 낮춘 만큼 기준을 통과한 언론사들이 대거 늘어날 전망이다. 정성평가가 제외돼 저널리즘에 대한 평가가 실종돼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구글처럼 뉴스 품질을 고려하지 않고 조회수에 매몰된 제목과 사진 경쟁만 양산될 것이란 분석이다.

국정감사를 고려해 정치권 압박을 최소화하기 위한 카드라는 시각이 많다. 여권을 비롯한 정치권에서 제평위가 ‘좌편향’ 됐다고 성토하는 등 공세 수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자 선제적 움직임에 나섰다는 것이다. 카카오는 김범수 창업주가 구속된 데 이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등 핵심 자회사들이 정부 제재에 신음하고 있다.

제평위는 정성평가가 지나쳐 깜깜이 심사방식이 도마 위에 올랐지만 사기업의 독단적 결정을 방지하고 저널리즘 심사 기능을 수행하기도 했다. 다음은 이번 카카오의 결정으로 제평위 이전 체제로 돌아가게 됐다. 정치적 외풍만 신경쓰느라 개편 방향을 신중하게 고민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포털업계 관계자는 “정치권에서 제평위를 흔들다보니 각종 법정 다툼으로 정부 눈치를 보는 카카오가 선제적으로 뉴스 평가 개편에 나선 상황"이라며 “‘100% 정량평가’에 대한 선호도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도입해버리면서 오히려 뉴스 서비스 제공에 있어 입지가 애매해졌다"고 말했다.

메이저토토사이트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