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mo톡] 테슬라가 불 지핀 자율주행차 ʹ눈ʹ 경쟁

이번 발표에서 많은 이들이 실망한 부분은 일론 머스크가 로보택시에 적용될 자율주행 기술의 중요한 내용을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 각국의 자율주행차 규제에 어떻게 대응할지, 그리고 로보택시의 수익모델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지 않았다.

자율주행업계에서는 테슬라가 그동안 전기차를 통해 여러 면에서 혁신을 이어왔지만 로보택시는 이미 업계에 자리 잡은 사업모델과 차별성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자동차업계는 정작 행사 중 공개된 ‘로보밴’(Robovan) 콘셉트 카를 주목했다. 20명이 탑승 가능한 자율주행 승합차로 기아가 강조하는 PBV(목적기반모빌리티) 콘셉트와 유사하다.

테슬라는 카메라 등 시각센서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를 더한 자율주행을 구현한다. 무겁고 비싼 센서를 쓰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하지만 이 방식은 많은 데이터가 쌓여야 성공 가능성이 크다. 현재 저렴한 모델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도 자율주행 시각 데이터를 쌓기 위함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시각센서 방식은 날씨 영향을 많이 받는 탓에 라이다(Lidar) 방식보다 사물 인식 능력이 떨어진다는 평이다.

자율주행업계에서도 방식에 따른 차이는 분명 존재하지만 과거처럼 차이가 크지 않은 데다 원가 측면에서 시각센서 기반 기술을 무시할 수 없다고 본다. 대표적으로 현대차는 미국에서 모셔널을 통해 라이다 방식 자율주행차를 테스트 중이고, ‘아이오닉5 자율주행차’를 웨이모에 납품하기로 했다. 반면 국내에선 포티투닷을 통해 시각센서 방식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다.

자율주행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구체적으로 자율주행차 출시 가격을 언급한 만큼 특히 자율주행차 후발 업체들은 가격을 앞세우며 경쟁에 뛰어들 수밖에 없다"며 “이미 자리를 잡은 글로벌 업체들은 기술 완성도를 바탕으로 안전성을 통해 차별화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어떤 방식이 우수한지 논쟁을 벌이기보다, 차의 급이나 성격에 따라 연관 기술을 섞거나 다르게 응용하며 시장에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고 짚었다.

먹튀 검증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