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수원 가동률 95% 육박”… 충남, 청양 지천댐 건립 안간힘

자체 물그릇이 턱없이 부족해 식수와 공업용수 대부분을 타 지역에서 끌어와 쓰고 있는 충남도가 청양 지천댐 건립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7년 뒤면 충남의 용수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만성적인 물 부족이 현실화해 자체 수원 확보가 절박한 입장이다.

인구 213만 명 규모로 충청권 최대 광역지방자치단체인 충남도는 생활·공업용수의 대부분을 타 지역에 있는 대청호에 의존하고 있다. 15개 시군 중 11개 시군이 대청호 물을 쓴다. 반면 충남 유일의 다목적댐이 조성된 보령호는 총저수량이 대청호의 15분의 1인 1억1000만t에 불과해 용수원 구실을 제대로 못 하고 있다. 충남도의 용수 공급·수요 분석 결과, 충남은 이미 대청댐과 보령댐에서 공급 가능한 용수의 95%를 사용하고 있어 한계치에 봉착한 상황이다. 공상현 충남도 물관리팀장은 “2031년부터 용수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해 2035년이면 하루 18만여t이 부족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예측”이라고 말했다. 충남도는 서해선 철도와 제2서해안고속도로 개통 등으로 서북권의 급격한 산업화와 기업 투자가 지속되고 있고, 아산 베이밸리 메가시티 등 개발 수요도 이어져 대규모 자체 수원 확보가 발등의 불인 상황. 여기에 극한 가뭄 등 심각한 기후변화 양상까지 감안하면 더 이상 시간이 없다는 것이다.

지천댐은 충남의 유일한 댐 건설 적지로 일제 때부터 거론된 지역이다. 정부는 지난 7월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 용량 5900만t 규모의 다목적댐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예산 예당호(4700만㎥)나 논산 탑정호(3100만㎥)보다 큰 용량으로, 하루 38만여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t을 공급할 수 있다.

인구가 2만9000명대에 불과한 청양군의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지천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존 댐과 달리 댐 하류에 취수구를 만드는 방식으로 상류 지역 상수원 보호규제를 없앤 점과 관광 시설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 생활 인구 증가 효과가 적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다.

문제는 지자체와 주민 설득이다. 김돈곤 청양군수는 최근 환경부 대책이 부족함이 많다며 지천댐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일부 주민들은 안개 일수 증가 등을 이유로 대책위원회를 결성해 조직적인 반대 활동에 나섰다. 반면 댐 하류 지역 주민 대부분은 댐 건설에 찬성하고 있다.

김기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지천댐은 단순히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넘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라며 “정부에 구체적인 지원대책을 요구하고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도 차원의 종합지원대책도 별도로 만들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이저 놀이터순위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