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서울 풍납토성 서성벽에서 백제인이 성공적인 축성을 위해 다양한 의례행위를 했던 흔적이 발견됐다. 백제인의 왕성 축조를 위한 축성기법도 새롭게 확인했다.
그동안 조사를 통해 백제인의 왕성 축조를 위한 기획과 축조과정, 토목기술을 확인해왔다. 둘레 3.8㎞ 이상의 성벽으로 이뤄진 풍납토성은 한강변 강 안쪽 충적대지(하천에 의해 운반된 자갈, 모래, 진흙 등이 범람해 천변의 낮은 땅에 퇴적되어 만들어진 대지)에 지어졌다.
한강변은 왕성의 입지 측면에서는 수로와 육로의 교통로 확보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지만 홍수와 범람, 이로 인한 한강변의 배후습지를 극복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백제인들은 한강변 자연제방을 활용하고 자갈층과 부엽층을 깔아 배후습지를 극복해 성벽 축조의 기반을 마련했다. 성벽 축조 이전 시기부터 이용해왔던 통행로를 왕성의 성문과 연결해 내부 도로로 활용하였음을 확인한 바 있다.
서성벽의 기반층에서는 의례에서 사용했던 여러 종류의 지진구(地鎭具, 건물을 짓기 전 땅의 기를 진압해 안전을 빌기 위해 봉안하는 상징물)가 확인됐다. 서문지에는 동물 유체를 공헌물로 매납한 흔적이 다수 발견됐다. 이러한 의례행위는 왕성의 성공적인 축성을 기원하고 대규모 공사의 공식적인 시작을 알리는 의미로 해석된다.
길이가 2.5m 이상인 장목주(長木柱)도 발견됐다. 이는 현대 건축물의 뼈대가 되고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사용되는 에이치(H)빔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으로 파악된다.
풍납토성의 성벽은 판축기법으로 쌓아올린 것이다. 판축단위인 평면 직사각형(장방형)의 판괴(版塊)를 연속으로 덧대어 축조하는 기법이다. 이 판괴를 만들기 위한 판축구조물도 다양하게 확인됐다. 물성이 다른 흙을 켜켜이 다져 올린 판축기법과 판축 단위 곳곳에서 확인되는 판축구조물은 한성기 토목기술의 집합체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