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관료 출신 임원 5명 중 1명은 검찰 출신

(시사저널=김은정 디지털팀 기자)

30대 그룹의 관료 출신 임원 5명 중 1명은 검찰 출신으로 파악됐다.

1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자산 상위 30대 그룹 계열사 중 올해 상반기 보고서를 제출한 298개 기업에 소속된 등기·미등기 임원 1만1208명의 출신 이력을 분석한 결과, 관료 출신이 전체의 3.0%인 33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료 출신 임원이 몸 담았던 전직 부처로는 검찰이 가장 많았다. 검찰 출신 임원은 75명으로 전체 관료 출신의 22.3%였다. 이 가운데 49명이 사외이사였으며, 사내이사는 조석영 카카오 CA협의체 준법지원팀장이 유일했다. 나머지 검찰 출신 25명은 미등기 상근 임원으로 그룹별로 삼성 5명, 현대차 4명, 한화와 KT 각각 3명 등이었다.

검찰 다음으로 사법부(판사) 출신이 53명(15.7%)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이들 중 39명이 사외이사, 14명이 미등기 임원이었다. 이어 관료 출신 임원의 전직 부처는 국세청 38명(11.3%),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26명(7.7%), 산업통상자원부 23명(6.8%), 기획재정부 21명(6.2%), 대통령실·청와대 16명(4.7%), 공정거래위원회 12명(3.6%) 등의 순이었다.

30대 그룹 중 관료 출신 임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신세계였다. 임원 총 158명 가운데 11.4%(18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농협(9.4%, 14명), 한진(8.8%, 13명), CJ(7.4%, 22명), HDC(7.3%, 4명), 두산(7.0%, 13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관료 출신 임원 비중이 가장 작은 그룹은 LG였다. 전체 임원(940명) 중 관료 출신은 0.4%(4명)에 불과했다. 관료 출신 임원 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49명이 이름을 올린 삼성이다. 삼성 전체 임원 2084명 중 2.4%가 관료 출신 임원이었다.

먹튀 사이트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