ʺ세계에는 고통이, 더 조용히 있어야 ʺ 소설가 한강, 잔치를 고사한 이유

“나는 조용히 있고 싶습니다. 세계에 많은 고통이 있고 우리는 좀 더 조용하게 있어야 합니다.”

소설가 한강이 노벨문학상 발표 직후 아버지 한승원 소설가가 마을 사람들과 벌이는 동네 잔치를 만류한 이유를 두고 이 같이 밝혔다.

한강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스웨덴 공영 SVT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은 주목받고 싶지 않다”며 “나에게 이 상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분 남짓의 영상과 함께 공개된 인터뷰는 영어로 진행됐으며, 노벨문학상 발표 직후인 지난 11~12일 사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영상 속 한강 소설가는 편안한 표정으로 검은색 상의에 검은 생머리를 한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지만 자신에게는 크게 달라지는 것이 없으며 여전히 평화롭고 조용한 생활을 지향한다는 말도 전했다. 그는 “평화롭고 조용하게 사는 것을 좋아한다”며 “글쓰기에 집중하고 싶다”고 말했다.

노벨문학상 수상을 왜 축하하고 싶지 않았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오히려 충분히 축하했다는 말을 전했다. 그는 “아들과 함께 카모마일 차를 마시며 축하했다”며 “축하하고 싶었는데 왜 그렇게 생각했느냐”고 묻기도 했다. 이에 기자가 부친(한승원 소설가)이 딸이 전쟁이 벌어지는 세계의 상황 때문에 그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 언급하자 한강은 “뭔가 혼란이 있었던 것 같다. 그날 아침 아버지께 전화드렸을 때 아버지는 마을에서 사람들과 큰 잔치를 하려고 했는데 나는 그게 좋지 않았다"며 “그런 큰 잔치는 하지 마시라고 했다"고 답했다.

끔찍한 역사적 사건에 직면해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우리는 역사를 통해, 말을 통해 배울 기회가 많이 있었는데, 분명히 (끔찍한 일들이) 반복되는 것 같다”며 “적어도 언젠가는 과거로부터 배울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가 살인을 멈춰야 한다는 것은 우리가 배웠던 것들의 아주 분명한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한강은 글을 쓰는 것이 무용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

“1년에 소설 한 편을 쓸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예를 들어 ‘작별하지 않는다’를 완성하는 데 7년이 걸렸습니다. 시간을 들여 계속 글을 쓰는데 아무것도 변하지 않을 것 같아요.”

한강은 현재 단편 소설을 집필 중이라고 밝혔다. 소설을 마감한 뒤 노벨상 수락 연설문 작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한림원으로부터) 에세이를 써야 한다고 들었다. 바라건대 지금 쓰는 짧은 소설을 이달이나 내달 초까지 마무리하고 그 이후 쓸 것"이라고 말했다.

사설토토사이트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