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남북을 연결했던 경의선·동해선 도로를 폭파한 이튿날인 16일 한·미·일을 중심으로 한 11개국이 북한의 유엔 제재 위반을 감시하는 새로운 조직을 구성했다.
한·미·일 외교차관과 8개국 주한대사들은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이행을 위한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MSMT)‘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러시아의 비협조로 인해 최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전문가 패널이 무력화된 데 따른 자구책으로 해석된다.
MSMT는 대북제재 조치에 대한 북한의 위반·회피 행위를 감시하고, 이를 보고서 형태로 국제사회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MSMT에 참여한 국가는 한국,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11개국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출범 논의에도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미·일 3국은 MSMT 출범식 직후 김홍균 외교부 1차관,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 오카노 마사타카 일 외무성 사무차관 등이 참여한 가운데 14차 외교차관협의회를 열었다. 3국 차관들은 북한의 무력 도발 시 공조 방안은 물론 11월 초 미국 대선을 전후해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북한은 전날 경의선·동해선 폭파 사실을 대내외 매체에 보도하지 않았다. 다만 노동신문 1면을 통해 “신성한 우리 공화국의 주권과 안전을 침범한 한국 쓰레기들을 징벌하려는 멸적의 의지가 온 나라에 차 넘치고 있다"며 “전국에서 청년 140만명이 입대·복대 탄원서에 서명했다"고 주장했다.
[김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