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대전] [앵커]
해킹으로 인한 사이버 범죄가 날로 심해지고 있습니다.
연구단지와 국방시설, 중앙부처가 밀집돼 있는 우리 지역에서도 사이버 보안을 위한 권역별 협의체가 발족한 가운데,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최선중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대전의 한 종합병원 홈페이지가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습니다.
환자와 의사등의 개인 정보 수백 건이 털렸습니다.
같은 달, 한국수력원자력의 지역 협력사가 사이버 해킹 공격을 받아 원전 정보 등 70여만 건이 유출된 사실도 최근 국정감사에서 확인됐습니다.
[이록석/보안업체 이사 : “탐지되지 않는 악성 코드같은 (사이버) 공격을 가지고 내부 기밀들, 특히 이쪽은 국방이나 행정, 과학기술기관이 많이 있다 보니까 그런 공격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고…”]
사이버 침해 사고는 올 상반기에만 9백 건 가까이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했습니다.
이에 대응해 권역별 대응 협의체가 두 달 전, 출범했습니다.
[임성묵/대전시 정보화정책과 사이버보안팀장 : “해킹 공격 시 골든타임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관별 인적, 장비적인 한계를 협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 회의에서는 지역 협의체 구성이 늦었고, 국가정보원 주도의 대응체계에 머물러 있다보니, 지역단위의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특히, 최근 불법 합성 사진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딥페이크 영상의 경우 이미지에 특정 코드를 심어 사전에 걸러내는 기술 접목이 필요하단 의견도 나왔습니다.
[강정민/고려대 인공지능사이버보안학과 교수 : “가해자들이 그걸 악용하려고 했을 때 (합성물을) 뭉개고 또 어떤 코드가 있어서 그 딥페이크를 하는 소스를 추적할 수 있는 것까지…”]
그러나 정부의 예산 축소 기조 속에 지자체별로 배분되는 사이버보안 장비 교체 예산마저 줄면서 선제적 대응에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선중입니다.
촬영기자:강수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