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소설 속 첫사랑, 본인 모습이었나”…20대 풋풋한 모습에 주목

지난 15일 EBS교양 유튜브 채널에는 ‘노벨문학상 수상자의 20대 시절 여행은 어떤 감성인가요. 작가의 소설 여수의 사랑의 발자취를 따라서’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은 1996년 방영된 ‘문학기행 - 한강의 여수의 사랑’ 편을 편집한 것으로, 당시 27세였던 한강의 풋풋한 모습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편안한 차림에 화장기 없이 머리를 질끈 묶은 채 등장한 한강은 날씨로 인해 비행기가 결항되면서 약속된 시간보다 7시간 늦게 도착했다고 한다. 그는 “오느라고 힘들었죠?”라는 제작진의 물음에 “아니에요”라며 수줍게 웃었다.

한강은 소설의 배경이 된 여수항, 남산동 등 곳곳을 둘러보며 첫 소설집 ‘여수의 사랑’ 집필 비하인드를 전했다.

한강에 따르면 우연한 기회에 잠시 머물렀던 여수에서 이곳을 고향으로 두고 서울에 사는 두 젊은 여자를 떠올렸다. 한 여자는 그 고향을 끝없는 그리움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또 다른 여자는 한없는 상처로만 기억한다.

소설을 통해 삶의 본질적인 외로움과 고단함을 섬세하게 살피며 존재의 상실과 방황을 그려낸 그는 이 작품을 통해 비평가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았다.

‘여수가 소설 속 이야기의 배경이 된 이유’에 대해 한강은 “여수라는 이름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여수(麗水)가 아름다운 물이라 그래서 이 고장의 이름이 되기도 하고. 여행자의 우수(旅愁)라는 한자를 써서 여수가 되기도 하는 그런 중의적인 것 때문에 여수를 택했다”라고 밝혔다.

소설의 주인공인 ‘정선’과 ‘자흔’ 두 사람을 통해 무엇을 얘기하고 싶었느냐는 질문에 한강은 “오히려 젊기 때문에 어두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제 생각에는 이렇게 나이를 먹을수록 더 밝아지는 그런 부분도 있을 것 같고. 사람은 누구한테나 말할 수 없고 겉으로 보기엔 평범해 보이는 사람이라도 다 상처가 하나씩은 더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에 대한 얘기를 하고 싶다 보니까 그런 인물들을 설정하게 된 것 같다”라고 답했다.

먹튀사이트 검색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