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6 재보궐선거] 이변은 없었다...국힘 2석.민주 2석

4곳의 기초단체장을 뽑는 10·16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핵심 지역에서 2곳씩 승리했다.

부산 금정구청장 선거에서는 윤일현 후보가 막판까지 경합을 벌였던 민주당의 김경지 후보를 따돌리고 당선됐다. 전남 영광군수 선거에선 장세일 민주당 후보가 이석하 진보당 후보, 장현 조국혁신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인천 강화군수 선거에서는 박용철 국민의힘 후보가 한연희 민주당 후보에 경합 끝에 승리했다. 곡성군수 재선거에선 조상래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박웅두 조국혁신당 후보를 가볍게 따돌리고 당선됐다.

이번 재보선은 ‘김건희 여사 리스크’와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부각되며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텃밭에서도 힘겨운 선거전을 치러야 했다. 일반 여론 이반은 물론 지지자의 실망 표가 나올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특히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이 국민 눈높이에서 해소돼야 한다며 용산과 맞서는 여당 내 갈등이 어떤 표심으로 나타날지 중대 관심사였다.

금정구과 강화군에서 국민의힘이 패할 경우 한 대표의 리더십에 상처를 입을 수밖에 없었다. 친윤계는 은근히 그것을 바라는 분위기였다. 친한계는 용산이 재보선을 도와주기는커녕 훼방을 놓는다는 불만을 토로했다.

그러나 전통 지지지역에서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며 일단 한 대표의 위상은 유지됐다. 금정구는 당초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후보의 야권 단일화로 양자 구도가 형성되며 경합 지역으로 분류됐다. 선거 막판으로 갈수록 지역의 보수 표심이 결집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도 표밭인 호남에서 조국혁신당과 진보당의 거센 도전을 받았다. 이재명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며 ‘정통 민주당의 복원’을 외쳤으나 윤석열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는 호남 민심에 묻혔다. 하지만 민주당은 핵심 지지 지역에서 득표율이 예전같지 않았다. ‘이재명당’ 체제에 대한 호남의 의구심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국민의힘의 낙승이 예상되던 강화군수 선거에서도 박용철 국민의힘 후보가 한연희 민주당 후보에 의외로 고전했다. 보수당을 지지해온 접경지역 표심이 오물풍선 공세와 경의선 및 동해선 연결도로 폭파를 강행하는 북한의 연쇄 도발을 마주하며 여당의 안보 관리능력에 불안을 느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먹튀 사이트검색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