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캐릭터 ‘무민’ 전시·애니 따뜻한 내용으로 전 연령층 즐겨
“내 인생에 들어온 여러분 모두 고마워요. 덕분에 내 인생은 진정 아름다워졌어요.”
천진난만하고 친절한 ‘무민적 사고’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무민 가족이 찾아왔다. 서울 마포문화재단은 다음달 2일까지 마포아트센터 갤러리맥과 스튜디오3에서 각각 전시 ‘무민 가족의 모험전’과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는 ‘무민 극장’을 선보인다.
무민은 핀란드의 국민작가 토베 얀손(1914~2001)이 빚어낸 캐릭터로, 그의 따뜻한 이야기와 더불어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전 연령층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관람객은 터치스크린 속 10개 질문을 통해 무민 가족과 친구들 가운데 자신과 닮은 캐릭터를 찾을 수 있다. 호기심이 넘치는 무민을 비롯해 난관 속에서도 해결 방법을 찾아내는 무민마마, 소년 감성으로 모험을 즐기는 무민파파, 달빛 속 여행을 사랑하는 스너프킨, 소심한 성격인 스니프, 몽상가 스노크메이든, 사납고 무모하게 행동하지만 믿을 수 있는 리틀미이까지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무민 소설책 중 가장 아름답고 따뜻한 이야기가 담긴 4권(‘혜성이 다가온다’, ‘무민의 겨울’, ‘보이지 않는 아이’, ‘무민파파의 회고록’)을 엄선해 삽화와 무민 가족의 다정한 이야기를 함께 풀어냈다.
특히 무민 가족과 보이지 않는 아이 닌니의 첫 만남 장면을 설치물로 구현해 낸 커다란 문이 눈길을 끈다. 문틈으로 관람객은 저마다의 닌니를 상상할 수 있다. 소설 ‘보이지 않는 아이’는 잘못된 보살핌과 마음의 상처로 인해 점점 옅어지더니 결국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된 아이 닌니가 무민 가족을 만나 점차 자신의 모습을 회복해 가는 과정을 그렸다. 작가의 삽화와 이야기를 통해 때론 민간요법으로 제조한 약보다 잠자리에 다정하게 놓아둔 사과 한 알, 주스 한 잔, 줄무늬 캐러멜 세 개가 마음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시가 끝이 아니다. 3층에 마련된 무민극장에서는 무민 가족들의 모험을 더욱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이 상영된다. 또 ‘무민 미러아트’ 존에서는 무민 캐릭터 거울을 통해 무민 친구들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전시장 중앙에는 투명 우산을 든 무민 조형물이 놓여 있다.
전시장의 구석, 무색의 무민에게 알록달록 색을 입히는 컬러링 코너 벽면에 적힌 글귀는 이번 전시가 주는 메시지로 읽힌다.
“나는 행복한 지금 이 순간이 멀어져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또다시 행복해.”
윤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