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이어 아마존도...미 기업 3곳과 소형 원전 개발 계약

인공지능(AI)을 위한 데이터센터 건설이 늘어나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탄소 배출을 하지 않는 원자력 에너지로 눈을 돌리고 있다.

16일 아마존은 미국 버지니아주 에너지 지업인 도미니언 에너지와 소형 원자로(SMR) 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도미니언은 이미 버지니아에 있는 아마존의 452개의 데이터센터에 35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데, 향후 이 회사의 SMR에서도 전력을 공급을 받기 위한 것이다. 아마존은 이를 통해 향후 300MW 이상의 전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약 20여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과 맞먹는다.

아마존은 또 워싱턴주에 있는 공공 전력 공급 기업인 ‘에너지 노스웨스트’와 계약을 체결하고, 이 회사의 4개 SMR 건설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들 원자로는 처음엔 320MW의 전력을 생산하고, 이후 총용량을 960MW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 아마존은 또 노스웨스트가 짓는 원자로에 사용되는 첨단 원자로와 연료를 공급하는 업체 ‘X-에너지’에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마존은 이 기업을 위해 약 5억 달러의 투자 유치를 주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은 X-에너지와 2039년까지 미국에서 5GW(기가와트) 이상의 새로운 전력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는 지금까지 가장 큰 SMR 사업이 될 것”이라고 했다. 아마존 글로벌 데이터 센터 부사장 케빈 밀러는 이날 “우리는 늘어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기후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며 “X에너지의 기술은 이를 달성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했다.

미 CNBC 방송은 이들 3개 에너지 기업과의 계약을 위해 아마존이 5억 달러(약 68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앞서 아마존은 지난 3월에 탈렌에너지 원전에 연결된 데이터 센터를 인수하며 전력거래계약을 맺기도 했다.

이 같은 소식은 구글이 전력 확보를 위해 미국 SMR 스타트업 ‘카이로스파워’와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힌지 이틀만에 나왔다. 구글은 카이로스파워가 향후 가동할 원자로 6~7개에서 총 500메가와트(MW)의 전력을 공급받기로 계약했다고 밝혔다. 이는 수십만 가구가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카이로스파워는 2030년 첫 번째 SMR을 가동하고, 2035년까지 추가로 원자로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마이크로소프트(MS)도 지난달 미국 원자력발전 1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데이터센터에 20년간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뉴욕타임스는 “과거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에 투자를 했던 빅테크 기업들이 이제는 온실 가스 배출 없이 24시간 내내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원자력 에너지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먹튀 검증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