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노사가 통신 네트워크 운용·관리를 맡는 자회사 설립과 인력 재배치 계획을 두고 갈등을 빚자 전출 지원금을 상향하고 일시금 지급 등 보수 부문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합의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김인관 KT 노조 위원장은 전날 김영섭 KT 대표를 만나 전출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대우를 해야 한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노사는 근속 10년 이상 자회사 전출자에게 KT에서 받던 기본급의 70%, 전직 지원금 20%를 주려던 계획을 전직 지원금 30%로 상향하는 조건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자회사 전출자가 받는 복지 혜택을 KT 본사와 유사한 조건으로 유지하는 안과 촉탁직 직원 근무를 기존 2년에서 3년 보장하는 방안에도 합의했다.
소수 노조인 KT 새노조는 “국회에서도 반드시 폐기해야 한다고 경고했던 구조조정 계획이 결국 노사 합의라는 명분으로 통과됐다"며 “김영섭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이사회는 책임을 전적으로 져야 하며, 김영섭 사장은 연임은 언급조차 말아야 한다. 우리는 반드시 그들에게 이 졸속 결정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KT 이사회는 지난 15일 선로 통신시설 설계와 고객전송 업무를 맡는 자회사 KT OSP와 국사 내 전원시설을 설계 및 유지·보수하는 자회사 KT P&M을 신설하고 해당 자회사 임직원을 본사에서 전출시키는 안을 의결했다.
KT는 이번 조직개편 및 구조조정이 AI+정보통신기술(AICT) 회사로의 전환을 위한 인력 혁신이라는 입장이다.
KT는 당초 자회사로 약 3800명을 이동할 계획이었다. 전출을 원하지 않는 직원에 대해서는 특별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분사와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조정 규모는 5700명으로, 전체 KT 직원의 약 3분의 1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