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계도 ʹ갑질ʹ 만연…외부 갑질은 더 심각해져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과학기술계의 ‘갑질’ 병폐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외부 갑질은 3년전 보다 더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이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2022년 2월 출연(연) 상호존중의 조직문화 확산을 위한 갑질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NST 및 산하기관 전체 구성원 중 31.5%가 소속기관 내부로부터, 14.4%가 외부로부터 갑질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갑질 실태조사에는 NST를 포함한 정부 출연연 26개 기관 소속 1306명이 참여했다. 이에 앞선 조사는 지난 2018년에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소속기관 외부로부터의 갑질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188명 중 85.6%(161명)가 외부 직무관련자로부터의 갑질이 심각하다고 답했다. 이는 2018년 22.7%에서 4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외부 갑질 행위자는 ‘주무부처’ 소속이 3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사업관리 기관 등 유관기관 22.9%로 뒤따랐다.

직종별로는 연구직(54.3%), 행정직(36.3%) 순으로 외부 갑질을 경험했고 ‘합의된 사항 이상의 업무 요구’, ‘외부기관 담당자의 업무 전가’ 형태의 갑질이 가장 많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외부갑질 경험자 중 84%는 갑질이 본인의 업무능률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이는 2018년 66.2%에 비해 20% 이상 증가한 수치다.

해당 조사는 NST가 외부기관에 의뢰해 2021년 11월 19일부터 12월 10일까지 20여 일 간 시행했고 결과보고서는 2022년 2월 도출됐다.

노종면 의원은 “2018년 결과와 비교했을 때 2021년 말까지도 정부출연연 과학기술계에는 여전히 갑질 피해가 유사하게 반복되고 있다는 게 확인됐다"며 “현재까지도 개선되지 않았을까 우려된다. 실태조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갑질을 근절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토토먹튀 검증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