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3천661명이 홀로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전체 사망자의 1.04%가 고독사였습니다.
고독사는 1970년대 일본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입니다.
한국에서는 고독사 현황에 대한 공식적인 집계가 이뤄지지 않다가 2021년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고독사예방법) 시행으로 이듬해 12월 복지부가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 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했습니다.
당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고독사 사망자는 총 3천378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1.06%를 차지했습니다.
이후 고독사 사망자 숫자는 2022년 3천559명, 지난해 3천661명으로 계속 늘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1인 가구 증가를 고독사 사망자가 늘어난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1인 가구는 2021년 716만6천명에서 2022년 750만2천명, 지난해 782만9천명으로 매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여기에 지난해 6월 법 개정으로 고독사 대상이 ‘홀로 사는 사람’에서 ‘사회적 고립상태에서 생활하던 사람’으로 확장돼 고독사 사망자로 집계되는 인원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집니다.
고독사는 장년층인 50·60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2년과 지난해 60대 고독사 사망자는 각각 전체 고독사 사망자(연령 미상 제외)의 31.4%, 3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같은 기간 50대 고독사 사망자도 전체의 30.4%, 30.2%로 그다음으로 많았습니다. 50대와 60대를 합치면 전체 고독사의 60% 이상을 차지합니다.
특히 50·60대 남성 고독사 사망자는 2022년과 지난해 전체 고독사의 무려 54.1%와 53.9%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컸습니다.
노정훈 복지부 지역복지과장은 “50·60대 고독사는 사별이나 이혼, 알코올 관련질환 등 고질적인 만성질환, 주거 취약 등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며 “이러한 특성을 반영해 내년에 고독사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고독사 의심 위험 가구’를 추출해 지방자치단체에 명단을 제공해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