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4.6% 성장했다고 국가통계국이 18일 밝혔다. 1분기 5.3%, 2분기 4.7%를 하회했지만 시장 예상치(로이터통신 4.5%, 차이신 4.4%)는 넘어섰다. 4.6%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4.5%)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이다.
중국 당국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설정했으나 2분기부터 성장세가 확연히 꺾이면서 1~3분기 성장률 4.8%를 기록했다.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여러 어려운 상황에도) 9월 들어서 여러 생산·수요 지표가 호전됐고 시장 기대도 개선돼 경제 호전을 이끄는 긍정적 요인이 늘었다”고 자평했다. 그러나 장즈웨이 핀포인트에셋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대로면 공식 성장 목표인 5%를 달성하기 어렵다”고 단언했다. 로이터도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은 4.8%, 내년은 4.5%로 갈수록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중국 경제가 좀체 반등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침체 영향이 크다. 올해 1~9월 부동산 개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하락했다. 중국 가계 자산은 최대 70%가 부동산으로 이뤄져 있어 주택 가격이 생활 경제를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베이징 지도부는 부동산 시장을 다시 살릴 생각은 없다. 중국인들이 결혼을 포기하고 아이를 낳지 않는 가장 큰 이유가 대도시 주택 가격이 너무 비싸기 때문이라고 봐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중국 정부의 태도에 ‘빈대 잡으려다가 초가 삼간 태우는 것 아니냐’고 지적한다.
싱가포르계 투자은행 UOB의 웨이천호 이코노미스트는 “부동산 부문이 가계 자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이 시장이 개선되지 안흐면) 앞으로도 중국 경제에 두고두고 부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제 시장은 베이징에 ‘통 큰’ 부양책을 요구하고 있다. 로이터는 “중국 경제가 3분기에 예상보다 약간 더 성장했지만 장기화된 부동산 침체와 약한 소비가 여전히 걸림돌”이라면서 “추가 부양책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블룸버그통신도 “2023년 3월 이후 가장 느린 성장세”라면서 “연간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성장률 5% 안팎을 달성하기 위해 9월 말부터 다양한 부양책을 내놓고 있다. 정책 금리와 은행 지급준비율을 동시에 인하해 돈풀기에 나섰고, 전날에도 부동산 기업들에 연말까지 4조 위안(약 766조) 규모의 신용대출 자금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18일에는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이 ‘2024 금융가 포럼’ 연설에서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오는 21일부터 0.2∼0.25% 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 중국 국유 상업은행이 일제히 위안화 예금 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했는데, 대출 금리도 낮추겠다는 취지다.
판 행장은 “9월 27일에 지급준비율(RRR·지준율)을 0.5% 포인트 인하했다. 올해 안에 0.25~0.5% 포인트 추가 인하도 예상한다”고 했다. 그는 지난달 금융당국 수장 기자회견에서 연내 지준율 추가 인하가 가능하다고 했는데, 이를 재확인한 것이다.
한편, 판 행장은 지난달 말부터 상승 랠리를 이어갔던 주식시장에 신용 자금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과거 중국 증시 상승 시기에 여러 종류의 정부 정책 대출이 주식 매입자금으로 흘러 들어가 거품을 만들어낸 사례를 잊지 않고 있다는 경고다.
류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