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해도 주담대 상단 7% 육박…연체율은 6년만 최고치

【 앵커멘트 】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은행 대출금리도 내려갈 것이라 기대하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정부가 가계대출을 잡으라고 은행권에 주문하면서 오히려 대출 금리가 올라가고, 그 결과 연체율도 올라가고 있습니다. 내수부진 속에 기업들도 빚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연체율이 6년 만에 최고를 보였습니다. 김태형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 8월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53%로 6년 만에 최대치를 보였습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올랐는데, 특히 가계대출에선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연체율 모두 7월보다 올랐습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곧 대출 금리가 낮아져 연체율도 감소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녹록지 않은 상황입니다.

금융당국이 은행권에 가계대출 관리를 주문하면서, 10월 5대 은행 주담대 변동형 금리가 오히려 8월보다 하단은 0.2%p 올랐고 상단은 여전히 7%에 육박하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신세돈 /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 - “‘기준 금리가 조금 올라가도 나중에 내리겠지’ 이런 잘못된 시그널을 준 게 문제다…. 정부도 연초에 집을 사라고 부추기면서대출 금리를 연초에 내렸거든요.”

빚 상환 부담은 늘었지만, 은행권은 벌어지는 예대마진으로 3분기 합계 순이익 전망치가 지난해보다 약 2,300억 원 증가하며 올해도 역대 최대 실적이 예상됩니다.

▶ 인터뷰 : 김득의 / 금융정의연대 대표 - “정부 정책 때문에 대출 금리 인하가 늦게 돼서 예대마진 폭이 크다, 그렇다면 정부가 나서서 은행 이자 장사를 돕는 꼴이 되지 않나….”

서민과 기업의 고통은 커지고 있지만, 은행들은 유례없는 호황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오혜진 그래픽 : 박경희

안전한 토토 사이트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