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아애 씨는 한옥 스테이, 고택 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전통한복 체험, 한식 체험, 요가 교육, 한옥 음악회, 전통혼례, 야외 결혼식 등을 특화해 남도 고택 체험과 관광 상품화를 실험하고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손영자 씨는 “함께 일하는 딸과는 절묘하게 조화가 잘 맞아떨어졌는데 한 공간에서 모녀가 함께 일하니까 외국인들한테 또 색다른 이미지를 부여한다"고 말했습니다.
‘별식소반(別食小盤)‘은 ‘일상의 미식화’라는 콘셉으로 전통 소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떡, 양갱, 정과 등 전통 다과를 중심으로 화순 제철 농산물을 이용해 음식이 만들어집니다.
‘모란밥상(母糷食卓)‘도 독특합니다.
엄마가 지은 찰진 밥으로 차려진 밥상을 뜻한다.
친정집에 세 들어 살던 스무 가구 남짓 되는 대식구의 끼니를 돌보셨던 어머니의 손맛을 되살려 보는 종가 음식의 대물림입니다.
‘풍류주막(風流酒幕)‘은 다양한 사람들과 문화가 교류되는 프로그램입니다.
명상과 요가를 통해 몸과 마음의 근심을 푸는 ‘해우소(解憂所)’ 프로그램도 조아애 씨가 직접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전통 보자기 포장, 꽃꽂이, 차(茶) 명상, 검도 시연, 건축 탐방, 지연 연계 체험 관광, 고택 음악회와 전시회도 개최하고 있습니다.
국가유산 활용 프로그램의 모든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이면서도 바깥 공간이 되는 한옥의 대청마루처럼 과거이지만 현대이고 미래가 되는 문화유산 활용 사업입니다.
우리 전통의 맛과 멋을 미래의 문화유산으로 끌고 가려는 실험이 손영자·조아애 씨에게 맡겨져 있습니다.
조아애 씨는 “경복궁과 전주, 경주 한옥 등을 가본 외국인들은 거긴 관광지 느낌이 나는데 여기는 실제 사람이 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으니까 좋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진짜 외국에 온 것 같다고 한다"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통을 유지하고 살고 있는 모습을 실제로 볼 수 있는 방향성을 좋아하신다"고 덧붙였습니다.
□ 문화기획자 조아애
- 미학·큐레이터학(학사), 문화학(석사) 전공
- HRD 콘텐츠 & 문화·예술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강사
-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아카데미 프로그램 운영, 콘텐츠 발굴·실행 강사 - 세계산림치유대회 VIP, 전국체전 VIP 환담장 등 운영
- 상무소각장 재생사업 콘텐츠 개발 (2023년)
- 향토음식 해설사 활동 (2019년~현재)
- 청년협의체 위원, 도곡면 청년회·방범대 대원 활동
#전남 #손영자 #조아애 #전통한옥체험 #한식대가 #양참사댁 #향토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