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전 세계 50개 나라 모여 불법 어업 근절 대책 찾는다

전 세계에서 불법 어업으로 인한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부산에서 50개 나라 관계자가 모여 근절 방안을 찾아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해양수산부는 21일부터 25일까지 부산 누리마루 APEC 하우스에서 ‘IUU 어업’(Illegal, Unreported, Unregulated:불법·비보고·비규제어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2차 항만국조치협정(PSMA)전략 워킹그룹 회의’를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주관하고 해수부가 후원한다.

항만국조치협정은 불법 어업 의심 선박에 대해 입항, 항만 서비스 사용 등을 제한함으로써 불법 수산물의 유통 차단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협약이다. 지난 2009년 제36차 유엔식량농업기구 총회에서 채택된 후 2016년부터 정식으로 발효됐다. 올해 10월을 기준으로 할 때 105개 나라가 가입했다. 전문가들은 이 협약이 불법 어업 근절에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평가한다. 불법 어획물 양륙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가입국이 늘어날수록 그 효과가 더욱 강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올해 행사에는 50여 개 회원국과 지역 수산기구 등에서 100여 명이 참석한다. 항만국조치협정 이행 현황을 점검하는 한편 효과적인 전략과 관찰 체계도 마련한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21일부터 11월 8일까지 부산에서 ‘PSMA 검색관 훈련 과정’도 운영한다. 개발도상국의 불법 어업 근절 역량 강화를 위해서다. 검색관의 임무는 어획 증명서, 어선 위치 등 각종 자료 분석과 승선 검사를 통한 불법 어업 감시다. 훈련에는 필리핀, 베트남, 투발루, 동티모르,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태국, 중국 등 아태지역 10개 나라 담당자가 동참한다.

과정은 국제수산법, 어업 관리, 불법 어업 단속 체계 등에 대한 전 세계 전문가의 강의와 함께 검색 및 어선 위치 추적 체계 현장 실습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국립수산과학원·한국수산자원공단, 부산항만공사 등도 방문한다.

해수부와 유엔식량농업기구는 앞으로 3년 동안 전 세계 개도국 공무원 480명을 훈련하기로 했다. 특히 이를 통해 부산을 ‘아태지역 PSMA 교육 훈련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불법 어업 근절을 위한 국제행사가 세계적 해양도시인 부산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것은 아주 큰 의미가 있다”며 “2025년 4월 부산에서 열릴 ‘아워 오션 컨퍼런스’를 앞두고 전 세계적 현안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나라의 노력과 기여를 국제적으로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이저놀이터순위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