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ʺ중국에 쫓기는 K-게임 위한 범정부 지원대책 시급ʺ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이 사행성 불법 PC방에 대한 정부의 단속과 대책을 촉구했다. 지난 1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게임물관리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승수 의원은 불법 사행성 게임 등 게임물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강력한 대처를 요구했다.

이날 김 의원은 서태건 게관위 위원장에게 게관위가 단속강화와 법적 조치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단속 직원이 30명인데 연간 점검 건수가 1500건으로 1명이 1주일에 1개 업소 점검 수준이다"라며 “전국적으로 불법 사행산업이 굉장히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불법 사행성 게임장 규모가 거의 15조원에 육박한다. 약 1만개의 사행성 PC방이 성업중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단속 인력이 1500개 밖에 점검하지 못했다"며 분발을 촉구했다.

이에 서 위원장은 “저희가 한정된 인력자원이지만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사법 단속 기능이 없는 게관위를 위해 경찰 쪽에서 지원해준 것이 연간 200건 밖에 안 되던데 이렇게 해서는 어떻게 제대로 단속이 되겠느냐"며 “게임법에 등급분류를 거치지 않은 게임은 단속돼 처벌되어야 하는데 그런 실적도 없다. 관련 실적 자료를 요구해도 아무런 조치나 형사처벌 결과, 기본적인 통계자료조차 관리를 안 하고 있어서 낼 자료도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게임산업을 저해하고 있는 대리게임과 핵, 오토같은 불법 앱을 사용한다는 것을 지난 번에도 지적했었는데, 전혀 나아진 게 없다"며 “대리게임이나 불법 프로그램을 판매한 사람들에 대한 형사처벌 건수는 1%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서 위원장은 김 의원의 질문에 “지속적으로 수사기관과 공조를 해서 불법 프로그램에 대한 공조는 계속 해 나가고 있다"며 “부족한 부분에 대해선 예산이나 인력 보강을 하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국내 게임산업의 경쟁력에 대해서도 질의했다. 김 의원은 “중국 게임 업체들이 맹추격하거나 추월하고 있는데 구글이나 앱스토어에서 차지하는 매출액 비중이 상위권에서 우리나라 게임을 앞지르고, 위협을 하고 있다"며 “매출로 보더라도 20개 게임 중에 구글플레이와 중국거래액이 지난해 17% 수준이었는데 올해 32%로 2배 가까이 늘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얼마전 중국산 콘솔게임 오공이 센세이션을 일으켰는데 우리나라도 콘솔게임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고 했는데 중국은 앞서 뛰쳐 나가고 있다"며 “텐센트가 국내 유수의 게임업체 지분율을 계속 높이고 있다. 넷마블은 20% 가까이 되고 크래프톤도 13.73%로 지분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우리나라 게임업체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범정부적으로도 이런 부분을 고민을 하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며 “가시적인 지원대책들이 나와 줘야하고 우리나라가 발전시켜야할 게임산업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빨리 마련해서 추진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메이저놀이터순위

Se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