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전도 전문가가 초전도 공중부양기술을 활용해 반도체 무접촉 이송장치 부품 소재 개발을 목표로 창업에 나섰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김찬중 박사가 초전도 공중부양기술 전문기업인 에스앰엘텍을 창업해 본격적인 기술사업화를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특정 온도에서 전자들이 저항 없이 흐르는 초전도 현상은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다. 초전도를 대표하는 현상 중 외부 자기장과 반대되는 내부 자기장을 형성해 물체가 공중에 뜨는 완전반자성이 있다. 이 현상을 적용하면 부품 간 마찰을 없앨 수 있어 반도체 공정이나 에너지저장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적 활용 가치가 매우 크다.
초전도 소재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인 김 박사는 지난 30여 년 간 다양한 초전도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했으며, 초전도 공중부양력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들을 개발해 왔다.
초전도 소재를 단결정으로 제작하는 초전도 단결정 성장기술과 초전도체 내에 비초전도물질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첨가하면 공중부양력을 높이는 자기속박기술을이 대표적이다. 또한 김 박사는 초전도 물질의 전자기적 성능을 높이기 첨가하는 촉매 물질로 비싼 백금산화물 대신 값싼 세륨산화물을 사용하고, 초전도 소재의 주원료인 희토류의 순도를 낮추면서 물성 변화를 최소화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그는 창업을 통해 초전도체 자석, 반도체 이송장치, 초전도 에너지저장장치, 무접촉 베어링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반도체 공정의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는 신개념 무접촉 이송장치의 부품소재 개발에 주력하겠다는 구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