ʺ김치 세계화의 ʹ종가ʹ 이끈다ʺ 30년 대상맨 임정배 대표 [이주의 유통人]

[서울=뉴시스]김민성 기자 = ‘김치 세계화’를 이끄는 임정배 대표이사의 리더십 아래 대상그룹은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미국에 김치공장을 세우는 등 해외 진출에 적극적이다.

1961년생인 임 대표는 고려대 식품공학과를 졸업한 후 1991년 대상에 입사했다. 1998년 미원통상이 대상에 흡수 합병된 이후 현재까지 대상에만 몸담고 있다.

2007년에는 대상 재무팀장, 2009년 대상 기획관리본부장 등을 거쳐 2013년엔 대상홀딩스 대표이사 자리에 올랐다.

2017년 대상 대표이사로 부임한 이후 2020년부터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했고, 현재까지 대상을 이끌고 있다.

해외사업과 재무·기획 분야에 정통한 것으로 알려진 임 대표는 대상의 핵심 제품인 김치 브랜드 종가(JONGGA)를 앞세워 해외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섰다.

[Read More]

반값에도 안 팔리더니…부산·울산 아파트에 무슨 일이?

찬바람이 불던 부산과 울산 지역 아파트 경매 시장에 간만에 온기가 돌고 있다. 지난달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광역시 가운데 두 지역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만 급등했기 때문이다. 경매 시장에서 해당 지역 외곽에 풀린 저가 아파트가 전체적인 낙찰 가격을 끌어올린 영향이다.

19일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부산 아파트 낙찰가율은 81.2%로 조사됐다. 73.7%였던 8월보다 7.5%포인트 상승했다. 낙찰가율이 80%를 넘은 건 올해 들어 두 번째다. 부산 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3월 82.9%를 나타낸 후 줄곧 77% 내외를 반복했다.

[Read More]

인플루언서와 함께 부산항 북항재개발사업지서 인생샷

부산항 북항재개발사업지를 배경으로 인생샷 이벤트가 진행된다.

부산항만공사(BPA)가 오는 31일부터 11월 28일까지 총 3회에 걸쳐 부산항 북항재개발사업지 현장을 배경으로 ‘부산항 북항 인플루언서 팸투어 : 인생샷 스폿 발굴하기’ 행사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북항재개발사업지 시설들의 숨은 매력을 소개함으로써 시민들이 해당 공간을 더 친근하게 느끼고 잘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했다.

참가 시민에게는 SNS에서 사진작가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와 함께 북항재개발사업지를 둘러보며 사업의 추진 배경 및 진행 현황, 향후 계획에 관한 설명과 함께 북항친수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나만의 특별한 인생샷을 찍는 방법을 배울 기회를 제공한다.

[Read More]

中 드론업체, 美국방부 제소…ʺ블랙리스트 지정 해제하라ʺ

오늘(19일) 로이터통신과 AFP통신 등에 따르면 DJI는 최근 워싱턴 연방법원에 제출한 소장에서 미 국방부가 자사를 “중국 군부와 협력한 방산업체로 오해해 블랙리스트에 잘못 올렸다"고 주장하면서 블랙리스트 지정 해제를 촉구했습니다.

DJI는 “미 국방부의 불법적이고 잘못된 결정으로 미국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낙인찍혀 미국과 글로벌 고객들이 계약을 끊는 등 사업상 막대한 피해를 봤다"며 자사는 중국군이 소유하지도, 중국군으로부터 통제받지도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DJI는 판매량 기준으로 세계 최대 드론 제조사로, 미국 상업용 드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 국방부는 지난 2022년 10월 DJI와 중국 최대 유전자 기업 BGI 지노믹스(華大基因), 중국 국영 열차제조업체인 중궈중처(中國中車·CRRC), 자율주행차 핵심 장비인 라이다(LiDAR) 센서 기술 개발업체인 허사이 등 13개 중국기업을 중국 인민해방군과 관련 있는 기업이라며 블랙리스트에 올렸습니다.

[Read More]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다, 삼성의 위기”…쇄신 목소리, 준감위·노조도 높여

삼성준법감시워윈회는 연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와 컨트롤 타워 재건을 주문하고 나섰다.

준감위는 삼성의 지시를 받지 않는 독립적인 조직으로 삼성 각 계열사의 준법 준수 여부를 감시하는 곳이다.

이찬희 준감위 위원장은 1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감위 정례회의 참석 전 취재진과 만나 “사법리스크라고 하지만 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는 책임경영에 최선을 다하는 게 맞다”며 이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다.

앞서 이 위원장은 15일 펴낸 준감위 2023년 연간 보고서 발간사에도 같은 내용을 강조한 바 있다.

[Read More]

ʺ러시아에 무기 공급ʺ…미국, 중국 기업 첫 제재

18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중국의 샤먼 림바흐 에어크래프트 엔진과 레드레퍼스 벡터 인더스트리 선전사가 미국 재무부의 제재 명단에 올랐습니다.

재무부는 샤먼 림바흐는 러시아군이 사용하는 드론 가르피야 시리즈의 엔진을 제조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상반기에 시제품이 나온 가르피야는 최대 1천500㎞를 비행할 수 있고, 현재 우크라이나 전장에 배치돼 주요 기반 시설 타격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레드레퍼스 벡터는 드론을 러시아에 수출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이 회사는 러시아 방산업체 TSK 벡터사를 통해 드론 및 항공 엔진에 사용될 수 있는 데이터 자동 처리 장치와 전자 부품 등도 러시아에 수출했습니다.

[Read More]

북미 수출 역대 최대 ʹK뷰티ʹ⋯숨은 주역들은[빛이 나는 비즈]

K뷰티 해외 진출에 가교 역할을 하는 스타트업이 주목받고 있다. 중소 뷰티 브랜드의 해외 진출 니즈가 늘어나자 현지 시장 특성에 맞춰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스타트업도 덩달아 급부상하는 것이다. 이들은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부터 현지 유통 채널 확대, 물류 시스템 효율화 등을 전담하며 뷰티 브랜드들의 해외 시장 안착을 돕고 있다.

◇글로벌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발굴

K뷰티 성공을 이끈 요인으로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빼놓을 수 없다. 미국의 시장조사 기업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미국 Z세대의 62%가 틱톡(TikTok)과 유튜브(YouTube) 등 SNS에서 새로운 뷰티 제품을 접한 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 지역에서 매출 급성장을 이룬 국내 중소 뷰티 브랜드들도 숏폼 형식의 제품 후기 콘텐츠를 활용한 바이럴 마케팅을 주요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Read More]

한덕수 총리 ʺ여순사건 희생자 심사 속도…진상규명 연장 법 개정 협력ʺ

한덕수 국무총리는 19일 여수·순천 10·19사건 추념식에 참석해 “유가족분들의 가장 큰 염원인 희생자 심사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심사 체계를 개선하고 전문 인력을 새로이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전남 보성 한국차문화공원에서 열린 여수·순천 10·19사건 제76주기 합동추념식에서 이같이 추념사를 했다.

한 총리는 “정부는 2022년부터 시행된 여순사건법(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 진상규명과 희생자 조사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까지 희생자 신고와 신청을 받아 본격적으로 희생자와 유족 결정에 들어갔고 특히 지난해 7월 개정된 여순사건법에 따라 올해 2월부터는 추가 신고나 재조사 없이 여순사건위원회 직권으로 희생자를 인정할 수 있는 길도 열렸다"고 설명했다.

[Read More]

현빈·오연서 이웃된 ʹ연봉 250억ʹ 김민재…25억 전셋집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선수인 ‘괴물 수비수’ 김민재가 배우 현빈·손예진 부부, 오연서 등과 이웃이 됐다. 경기도 구리시 아치울마을 한 고급주택 전세 계약을 체결하면서다.

19일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6월 경기 구리시 아천동 아치울마을 소재 ‘워커힐포도빌 전용면적 192.3730㎡(1층)‘는 25억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전세권자는 김민재로, 계약 기간은 오는 2026년 6월까지다. 현재 전세권 설정은 완료된 상태다.

지난 2019년 준공된 워커힐포도빌은 전원형 고급 빌라다. 4층으로, 펜트하우스 1가구를 포함해 총 7가구 규모다. 배우 현빈·손예진 부부, 오연서 등이 소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Read More]

비트코인에서 ʹ김치프리미엄ʹ 사라진 이유 [시크한 분석]

가상화폐 대장 비트코인의 가격이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그런데 비트코인 김치 프리미엄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 거래소의 비트코인 가격이 해외 거래소보다 비싸게 거래되는 현상을 뜻한다. 비트코인은 왜 국내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걸까.

■ 비트코인 현주소 = 먼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의 데이터를 보자. 지난 9월 7일 7307만8000원까지 하락했던 비트코인 가격은 9월 13일 8000원만대를 넘어 9월 27일 8600만원대로 올라섰다.

이후 잠시 하락세를 타던 비트코인은 지난 11일 상승세로 돌아서더니 15일 9000만원대를 돌파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9000원만대를 넘어선 건 8월 1일(9178만9000원) 이후 한달 보름 만이었는데, 그 기세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참고: 18일 비트코인 가격은 9248만3000원(오후 6시 기준)을 기록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