ʺ이재용 등기임원 복귀해야ʺ

[앵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이재용 회장이 등기임원에 복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재차 높였습니다.

삼성전자의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이 회장의 리더십과 책임경영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민후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뭐라고 얘기했나요?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은 오전 열린 3기 준감위 정례회의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찬희/삼성 준법감시위원장: 사법리스크라고 하지만 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이 회장이 등기이사로 복귀해) 책임경영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이 회장은 지난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에 부정하게 개입한 혐의로 지난 2020년 기소됐고 현재 항소심을 진행 중입니다.

[Read More]

IMF 총재 ʺ저성장과 많은 부채로 세계 미래 어려울 것ʺ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저성장과 높은 부채 문제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의 미래가 어두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17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이날 “저성장과 많은 부채라는 ‘지독스러운’(unforgiving) 조합으로 미래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인플레이션으로 명목 성장률이 오르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떨어졌지만 “공공부채가 높은 수준이고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훨씬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부채 증가로 정부 세수 가운데 이자 지급 비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낮은 성장률 때문에 부채를 제한하는 데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봤다. 각국 정부는 코로나19 확산 대응 과정에서 부채를 크게 늘렸고 아직 지출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는 국가들이 상당수다.

[Read More]

제2의 티메프 막는다…ʹ20일 정산ʹ 의무화

[앵커]

제2의 티메프 사태를 막기 위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이 발표됐습니다.

앞으로 이커머스 사업자는 20일 이내에 판매 대금을 입점업체에 지급해야 하고, 판매대금의 절반 이상은 금융기관에 예치해야 합니다.

정보윤 기자, 이른바 ‘티메프 방지법’ 개정안이 마련됐군요?

[기자]

이커머스 사업자는 소비자가 구매를 확정하면 20일 이내에 판매 대금을 입점 업체에 지급해야 합니다.

숙박이나 공연 등 구매 이후 서비스가 공급되는 경우엔 소비자가 실제 이용한 날을 기준으로 10일 이내에 정산해야 하고요.

또 판매대금을 관리할 땐 절반 이상을 별도의 금융기관에 예치해야 하고 플랫폼이 이를 담보 등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Read More]

ʹ티메프 불똥ʹ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소상공인 플랫폼 진출 더 옥죄나?

이른바 ‘티메프’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정부가 발표한 법개정안이 오히려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플랫폼 진출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규제가 늘어 대형 플랫폼만이 생존 가능해지는 독과점 형태가 될 경우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 진입장벽이 높아질 수 있어서다.

1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의 핵심은 △대금 정산 기한 도입 △대금 별도 예치 의무다.

온라인 중개 판매 플랫폼은 소비자가 구매를 확정한 뒤 20일 안에 대금을 판매자에게 지급해야 하고 판매 대금의 50%를 은행 등 별도 금융기관에 예치해야 한다.

[Read More]

SK에코 임원 17명 짐 쌌다

[앵커]

올해 초부터 사업 구조 재편 작업을 하던 SK그룹이 본격적인 임원 감축에 들어갔습니다.

그 시작은 실적 부진에 시달리던 SK에코플랜트였습니다.

배진솔 기자, 보통 연말에 정기 임원 인사를 하는데, SK에코플랜트에서 갑자기 인사가 났죠?

[기자]

SK에코플랜트 기존 임원 17명이 물러나고, 신규 임원 2명이 승진하며 임원 15명이 줄었습니다.

SK에코플랜트 조직 개편을 단행하며 임원 수를 줄인 겁니다.

앞서 지난 5월에도 실적 부진에 시달려온 SK에코플랜트는 김형근 당시 SK E&S 재무부문장을 SK에코플랜트 신임 사장으로 선임하는 인사를 발표했는데요.

[Read More]

김태현 ʺ고려아연 분쟁…국민연금 장기적 수익률 제고 측면서 판단해야ʺ

(서울=뉴스1) 강수련 기자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18일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과 관련해 “국민연금이 장기적인 수익률 제고 측면에서 판단을 해야 된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고려아연의) 8%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의 입장이 무엇이냐"는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현재 영풍·MBK 연합과 고려아연의 경영권 분쟁에서 확실한 승자가 없어 7.83% 지분을 가진 국민연금이 ‘캐스팅보트’로 떠오르고 있다. 공개매수를 끝낸 MBK연합은 38.47%를 확보했고, 고려아연은 23일까지 최대 37.89%의 지분율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티메프 재발 방지책에 벤처업계 ʹ싸늘ʹ…ʺ이러다 줄 폐업ʺ

[서울=뉴시스] 권혁진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18일 티몬·위메프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을 발표한 가운데 벤처기업협회가 업계의 상황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나아가 벤처생태계의 발전을 저해하는 개정안의 입법을 막겠다고 선언하면서 이를 둘러싼 충돌이 예상된다.

협회는 입장문을 통해 “업계의 큰 반대와 우려에도 불구하고 공정위가 일방적으로 발표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 방향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다"고 전했다.

공정위가 추진 예고한 개정안은 중개수익 100억원 이상 또는 중개규모 1000억원 이상인 온라인 중개거래 사업자는 구매 확정일로부터 20일 이내에 판매대금을 정산해야 하고, 판매대금 50% 이상을 금융기관에 예치하는 등 별도관리해야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다.

[Read More]

전기차 공공급속충전기 고장률 0.3%라더니…누적 고장률 60배↑

(세종=뉴스1) 이정현 기자 = 환경부가 ‘전기차 공공급속충전기’ 고장률을 0.2~0.3% 수준으로 발표했지만, 전체 고장 건수를 반영한 누적 고장률은 이보다 60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실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접수된 전기차 공공급속충전기 고장 신고 건수는 1459건이다. 해당 기간 전국에 설치된 공공급속충전기 수는 8293대다. 같은 충전기가 두 번 이상 고장 난 적은 없다고 가정하면 누적 고장률은 17.6%에 달한다. 충전기 약 5.7대당 1대꼴로 문제가 발생한 셈이다.

고장 원인은 △충전 이상(404건) △프로그램 오류(404건) △LCD(모니터 화면) 이상(318건) △통신 오류(22건) 순으로 많았다. 지역별로는 △경기(308건) △충남(198건) △전북(158건) △충북(120건) 순이었다.

[Read More]

셀트리온 ʺCDMO 자회사 연내 설립…기존 업체 넘는 경쟁력 확보ʺ

(서울=연합뉴스) 김현수 기자 = 셀트리온이 올해 안에 100% 지분을 소유한 자회사로 위탁개발생산(CDMO) 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18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날 홈페이지에 올린 주주 대상 공지문에서 “항체 개발 및 생산 노하우를 활용하면서 낮은 증설 비용, 높은 생산성을 바탕으로 기존 CDMO 기업을 뛰어넘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사업 추진의 중요 포인트"라며 이같이 전했다.

그러면서 “현재는 사업의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빠르게 진행 중"이라며 “연내 법인을 설립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설비 증설과 영업 활동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Read More]

용인시, ʹ보평2지구 기반시설ʹ 공원 2곳 무상귀속…일반에 개방

(용인=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경기 용인시는 보평2지구 지구단위계획 사업 구역에 건설된 공원 2곳을 무상귀속 받아 일반에 개방했다고 18일 밝혔다.

힐스테이트용인둔전역 아파트 건설에 따른 기반 시설의 하나로 조성돼 사업 시행자로부터 무상귀속 받은 공원은 보평근린공원과 물빛하늘소공원 등 2곳이다.

보평근린공원은 보평2지구 내 힐스테이트용인둔전역 아파트 서쪽에 1만8천744㎡ 규모로 조성된 평지형 공원이다.

이곳은 잔디마당, 어린이 놀이시설, 농구장, 야외운동기구, 바닥분수, 벽천분수 등을 갖췄다.

또 황토 맨발길과 세족장, 신발 보관함, 휴게시설 등도 설치됐으며,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