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도 깜짝 놀란 3000원대 소방관 ‘부실 급식’ 논란에 결국…

소방공무원의 한 끼 급식단가가 3000원대에 그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자 소방당국이 급식환경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앞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도 소방관들의 급식이 열악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 소방서의 한끼 급식단가는 3112원에 불과했다. 급식단가가 3852원(경남), 3920원(전북)인 곳도 있었다.

지난 10일 국회에서 열린 소방청 국정감사에서는 소방관 부실 급식 논란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지역별로 급식단가가 다른 이유는 시도별로 예산을 지원하는 근거 조례가 다르기 때문이다. 심지어 조례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도 있다.

[Read More]

오늘 대검찰청 국감...ʹ도이치·총장 탄핵ʹ 난타전 전망

[앵커]

오늘(21일) 열리는 대검찰청 국정감사에서는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연루 의혹에 대한 불기소 처분과 관련해 여야 공방이 뜨거울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이 공식화한 심우정 검찰총장 탄핵도 쟁점입니다.

김다현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은 4년 반에 걸친 수사 끝에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의혹 사건을 불기소 처분했습니다.

투자를 잘 모르는 김 여사가 권오수 전 회장을 믿고 계좌를 맡긴 것일 뿐 주가 조작 사실을 알지 못했다는 결론을 내린 겁니다.

검찰은 관련자들이 김 여사에게 주가 조작 사실을 알린 적이 없는 것으로 진술했다고 밝혔습니다.

[Read More]

행안부 공무직, 정년 최대 65세까지 연장…포상휴가도 신설

행정안전부 소속 공무직 근로자의 정년이 만 60세에서 최대 만 65세로 연장된다. 포상휴가도 신설돼 최대 10일까지 부여된다.

행안부는 이 같은 내용의 ‘행안부 공무직 등에 관한 운영 규정’을 지난 14일부터 개정·시행해 운영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공무직 근로자는 기관에 직접 고용돼 상시로 업무에 종사하며, 근로 기간의 정함이 없이 근로계약을 체결한 이를 말한다.

정부서울청사와 정부세종청사 등 전국 정부청사에서 환경 미화와 시설 관리를 담당하는 직원이 대부분으로, 현재 2300여명이 이에 해당한다.

운영 규정에 따르면 현재 만 60세인 1964년생은 63세, 1965∼1968년생은 64세, 1969년생부터는 65세로 정년이 연장된다. 행안부가 정년이 임박한 이들을 대상으로 별도 심사를 거쳐 정년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Read More]

ʹ김밥ʹ 먹으며 차도 막은 남성···ʺ좀 비켜달라ʺ 호소에 한 행동 ʹ황당ʹ

차량들이 지나는 차도 한 가운데에서 ‘김밥’을 먹으며 통행을 막은 한 남성을 목격했다는 사연이 전해졌다.

18일 전파를 탄 JTBC ‘사건반장’에 따르면 제보자 A씨는 지난 16일 오후 6시쯤 차량으로 한 골목을 지나던 중 한 남성과 마주했다.

A씨는 전조등을 켜가며 차가 있음을 알렸지만, 남성은 꼼짝하지 않고 김밥을 먹었다. 손으로 수신호를 해봐도 소용이 없었다는 게 A씨의 주장이다.

이에 A씨는 “아저씨 차 지나가는 찻길이다"라며 “조금 이렇게 비켜달라. 뒤에 차들 밀리고 있다"고 직접 부탁했다.

하지만 이 남성은 손에 김밥을 쥔 채로 자리를 비켜주지 않았고 손사래를 치거나 고개로 거절 의사를 표하기도 했다.

[Read More]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에 대장홍대선 연장

● 계양 테크노밸리…‘S-BRT 대신 광역철도’

20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계양 테크노밸리 사업시행자인 LH와 인천시, 인천도시공사(iH)는 큰 틀에서 대장홍대선을 테크노밸리까지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 기존 계획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인 고급 간선급행버스체계(S-BRT) 대신 홍대입구역에서 가양역, 화곡역, 부천 대장지구까지 이어지는 대장홍대선을 테크노밸리까지 연장하기로 한 것이다. LH도 최근 마무리 단계인 자체 용역을 통해 노선 연장에 사업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3기 신도시인 계양 테크노밸리는 계양구 약 333만 ㎡ 부지에 첨단 산업단지와 주택 1만7000채 규모의 신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3기 신도시 중 유일하게 광역 철도망이 없어 철도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들 기관은 우선 대장홍대선 연장 노선을 계양 테크노밸리 중심부인 주거단지로 잇는 데까지는 의견을 모은 상황이다.

[Read More]

“정책자금 대신 받아줄게”… 계약금 ‘먹튀’ 브로커 활개

“정책자금 무조건 받게 해드립니다.”

부산에서 농사를 짓는 80대 강준완(가명) 씨는 지난해 6월 이 같은 내용의 현수막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었다. 자신을 정책자금 컨설팅 업체 대표라고 소개한 양모 씨는 “서류 몇 가지와 계약금 100만 원만 주시면 수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다. 아무런 의심 없이 계약금을 납부한 그는 소식을 기다렸지만 양 씨와 연락이 닿질 았았다. 양 씨가 받아주겠다던 중소벤처기업부 정책자금 지원 대상에서 농민들은 제외된다는 사실을 강 씨는 뒤늦게 알게 됐다.

[Read More]

ʺ맨손으로 ʹ멧돼지ʹ 잡으면 공짜로 드려요ʺ···ʹ황당ʹ 관광상품 내놓은 ʹ이 나라ʹ

중국에서 ‘맨손’으로 멧돼지를 잡으면 무료로 가져갈 수 있는 관광상품이 나와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중국 지무뉴스 등 현지 매체는 최근 쓰촨성의 한 관광지에서 판매하는 멧돼지 사냥 상품이 중국인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쓰촨성 문화관광부는 구황산에서 야생 알, 꿩, 산토끼, 멧돼지를 잡을 수 있고, 잡으면 무료로 가져갈 수 있는 관광상품을 발표했다.

단 멧돼지는 1664세만 잡을 수 있고 816세는 꿩과 토끼만 허용된다. 사냥은 맨손으로만 가능하고 몽둥이를 사용해 쫓아내거나 돌을 던지는 등의 행동은 불법이다.

[Read More]

국민참여재판 10년새 70% 넘게 줄었다…실시율 13% 불과

국민의 사법 참여를 늘리기 위해 대법원이 마련한 국민참여재판 제도의 활용도가 나날이 감소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이 대법원 법원행정처로부터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는 지난해 전국 법원은 674건의 국민참여재판 신청을 받아 95건(13%)을 실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고인이 신청을 철회한 경우가 407건(55.9%), 법원이 신청을 거부한 경우가 226건(31%)이었다.

2013년에는 764건을 접수해 345건(43.3%)을 실시했는데, 실시 건수만 놓고 보면 10년 사이 70% 넘게 감소했다.

국민참여재판은 2008년 도입된 이래 2013년까지 실시 건수가 늘어났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2018년 처음 200건 미만을, 2020년에는 100건 미만을 기록했다.

[Read More]

로봇청소기가 가족 향해 ʹFxxxʹ 욕설…중국산 알고 보니

[서울=뉴시스] 강세훈 기자 = 중국산 로봇 청소기가 사람을 향해 인종차별적인 욕설을 퍼붓는 사건이 미국 곳곳에서 발생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NP)에 따르면, 중국에서 제조된 ‘Ecovacs Deebot X2s’ 로봇청소기가 욕설과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퍼부었다.

미네소타주에 사는 변호사 다니엘 스웬슨은 지난 5월 TV를 시청하던 중 로봇청소기에서 처음에는 ‘끊어진 라디오 신호 같은 소리’가 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누군가의 목소리가 작게 들리는 것 같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청소기 앱에서 낯선 사람이 자동 먼지 청소기의 라이브 카메라 피드와 원격 제어 기능을 해킹한 것을 발견했다.

[Read More]

산부인과 전문의 3명중 1명 60대 이상

산부인과 전문의 3명 중 1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으로 갈수록 고령화가 심했다. 여성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전국 0.24명으로 0명대에 그쳤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8월 말 현재 전체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산부인과 전문의는 6082명이라고 20일 밝혔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54.4세였다. 이 가운데 2009명(33%)은 일반인의 법정 정년인 6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북의 평균 연령이 60.8세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북(59.6세), 전남(59.1세), 충북(58.3세), 강원(58.1세) 순이었다. 전국 평균(54.4세)보다 낮은 지역은 세종(51.5세), 서울(51.8세), 경기(53세), 대구(54세) 등 4개 지역에 그쳤다.

[Read More]